안녕하세요
2022년 연말이 가고, 2023년 새해가 밝은지도 벌써 4일째입니다.
지난 연말에 지인분께서 한 100세 넘으신 어르신의 강연을 공유해 주셨습니다.
아무래도 한살을 더 먹는 만큼 한해 한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다른듯 해서 공유를 해주신듯 합니다. 새해인 만큼 저도 같이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첫번재 강연자 분은 올해 103세인 김형석 철학자님입니다.
영상은 하단 링크로 공유 드립니다.
주된 내용은 나이대를 크게 3단계로 나눠서 인생을 설계하면 좋을 거 같다는 내용입니다.
크게 30대까지는배움의 나이, 그리고 30~65세는 일을 하는 나이, 그리고 65세 이후는 나눔의 나이로 보면 좋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이가 들어서도... 하기 4가지를 꼭 해야 한다고 강조 하셨습니다.
저 역시 아직 열심히 일할 나이인지라...아직 65세 이후의 삶에 대해서는 고민을 많이 안하고 있습니다만,
한해 한해 바쁜 일상을 지내면서 다시 한번 고민을 해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TV에서도 자주 봤었던 이시형 박사님의 강연입니다. 이분도 벌써 90이 넘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습니다.
이 분의 주된 내용도 "일을(돈을 버는)하는 노인이 되어야 한다" 내용입니다.
노후에 좀 품위 있게 지내려면 어느정도 돈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또한 일을 하는 노인이 존경을 받는다는 내용도 언급되어 있습니다.
저는 일단 두분의 강연을 들으면서 현역으로 있으시면서, 강연도 하고 책도 쓰시는 것이 결국 건강의 비결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전국노래자랑 송해 선생님을 보면서도 나이가 들었다고 집에만 있고 가만이 있는 것이라 사회를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하거나,
본인이 하는 일을 지속적으로 더 꾸준히 해 나가는 것이 결국 인생을 좀 더 풍족하게 살았다고 하지 않을까 합니다.
앞으로 3년 뒤면 대한민국 역시 초고령사회(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가 되는 만큼
앞으로 점점 더 많은 고령자 분들이 은퇴를 하시고 사회로 나오게 됩니다.
고생하신 만큼 일정시간 정도는 여유를 가지신 뒤에, 인생 3단계(65세 이후)를 천천히 설계 해 보시는 것도 좋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본인이 살아온 인생의 족적도 다시 한번 이 기회에 정리해 보시기 바랍니다.
하단 기사를 보면 실제 20세와 100세의 얼굴을 비교한 실험 기사도 있었습니다.
https://donkeyhotel.tistory.com/604
20세와 100세의 얼굴 사진을 비교하면...
체코 오파바에 거주하는 사진 작가, Jan Langer 씨는 체코에 사는 10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얼굴 사진을 모아, 그들이 20대 때와 현재의 사진을 나란히하는 프로젝트를 실시했다. Langer 씨는 20대 시절
donkeyhotel.tistory.com
감사합니다.
#사진스캔 #사진정리 #인생정리 #90세이후인생 #초고령사회 #앨범정리 #앨범보관 #앨범스캔 #노후설계 #65세은퇴 #노년설계 #100세인생 #90세인생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