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민 절반 결혼은 안해도 된다

카테고리 없음

by 에잇레인보우 2022. 11. 25. 17:53

본문

안녕하세요

최근 결혼에 대한 인식이 더욱 바뀐 기사나 나와 공유 드립니다.

불과 5년 전만 해도 남녀 결혼에 대한 인식 중 약 60%이상은 결혼을 해야 한다라는 의견이 높았지만

이제 절반은 결혼에 대한 의무감이 없어진듯 합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045986?sid=102

 

특히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가 개인 선택일 수 있어 판단을 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입니다.

하지만 이유가 안타까웠습니다.

바로 높은 집값, 고용 불안 등 경제적인 이유로 결혼을 기피한다는 것입니다.

결혼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선 ‘결혼자금이 부족해서’가 28.7%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용상태가 불안정해서’(14.6%)가 꼽혔다. 경제적인 이유가 첫손에 꼽혔다.

성별로 이유를 보면 결혼자금 부족 다음으로 남자는 고용상태의 불안정(16.6%),

여자는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5.0%)를 꼽아 차이를 보였다.

통계청 2022년 사회조사 결과

통계청 자료를 기반으로 나이대별 인구분포수도 분석 하였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시면 최근 5년간 태어난 아이들의 평균 숫자는 28만명이고, 해마다 줄어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살 아이들보다 만 1살 아이들의 인구수를 보면 꽤 많이 줄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디까지 줄어들지는 향후 10년 정도 더 지켜봐야 알 듯 하지만, 예상으로는 평균 1년 출생아 수는 약 20~23만명 정도가 될 것으로 집니다.

이에 따라 결혼은 인구 수와 매우 밀접 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사회적인 고민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또한 향후 20년 이후부터는 생산인구 및 경제 활동 인구가 줄어드는 것이 명백한 상황입니다.

50대 분들이 약 10년 뒤면 은퇴를 하기 시작하면서 20~30대 분들이 주축이 되어야 하나 약 20만명이 부족해 지는 상황입니다.

대략 나이대별로 정리하면 40~50대 분들은 약 85만명 정도지만, 30대 분들은 약 65만명, 10대 분들은 약 50만명 정도 됩니다.

각 세대별로 약 15~20% 줄어들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책 또는 자동화 등을 통한 개선이 지금부터 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http://8-rainbow.com/home/

댓글 영역